사찰의 마당에 울려 퍼지는 깊고 웅장한 북소리는 먼 산까지 진동을 전한다. 그 소리의 주인공은 법고다. 불교 의식에서 법고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하늘과 땅, 중생의 마음을 잇는 신성한 매개체로 여겨진다. 오늘은 법고의 유래와 연주법, 그리고 그 속에 담긴 불교의 정신을 들여다본다.법고의 기원과 역사법고는 불교 사물(四物) 중 하나로, 불법을 널리 전하고 악귀를 물리치는 역할을 한다. '법(法)'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고(鼓)'는 북을 의미한다.법고는 인도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졌으며, 삼국시대 불교 전래 이후 사찰 의식에 자리 잡았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크기와 장식이 다양해졌으며, 의식에 따라 연주법도 체계화됐다.특히 조선시대 사찰에서는 범종, 목어, 운판과 함께 법고를 치는 순서가 정해져 ..